< 파일 생성 및 이력관리 흐름 >
1. 파일 생성
2. 추적 등록
3. 커밋 실행 (+ 커밋메세지 작성)
4. 코드 수정 - 수정된 코드는 워킹 디렉토리로 이동
5. 스테이지 재등록
6. 커밋 실행
(4 ~ 6 반복)
- VScode를 이용하여 파일 작성
$ code 파일명
- 깃 상태 확인
$ git status
새 파일이 등록되면, Untracked files : ... 메시지 출력
- 추적 상태로 변경
$ git add 파일명 ------------------- 해당 파일을 추적상태로 변경
$ git add . ------------------- 전체 파일과 폴더를 모두 등록
- 파일 등록 취소
$ git rm --cached 파일명
< 커밋 >
> HEAD : 커밋을 가리키는 묵시적 참조 포인터. 최종적인 커밋 작업의 위치를 가리킴.
> 스냅샷 : HEAD가 가리키는 커밋을 기반으로 사진을 찍어 스테이지 영역과 비교, 새로운 커밋으로 기록
- 커밋 실행
$ git commit -help ------------- 커밋 옵션 보기
$ git commit -m "메시지" ----------- 커밋 메시지 추가
$ git commit -a ------------- 커밋 전 모든 파일을 등록하는 과정 수행
$ git commit -v ------------- 커밋 시 diff 내용 추가
메시지 입력을 하지 않으면, 지정된 vi에디터가 열림 (Esc > : + w(저장),q(종료))
(첫 줄에 제목, 다음 줄에 상세 내용 작성하면 좋음. 중간에 빈 줄로 구분 가능)
- 수정된 파일 되돌리기
$ git checkout -- 수정파일 이름
이전 커밋 이후 작업한 수정 내역 모두 삭제
- 로그기록 확인
$ git log
최신 커밋 기록부터 내림차순으로 나열
- 상세로그 확인
$ git show 커밋ID
- 특정 파일의 로그
$ git log 파일명
- 워킹 디렉토리과 스테이지 영역 변경사항 비교 (add 전)
$ git diff
- 최신 커밋과 비교
$ git diff head
'개발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깃 명령어 - 저장소 생성 및 파일 상태 (0) | 2023.05.07 |
---|---|
관련 약어 정리하기 (+ 수정 중) (0) | 2023.01.08 |
이클립스(eclips) 키보드 입력할때마다 바로바로 나오는 알림 끄기 (1) | 2022.1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