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 네트워크 모델 (Network model) >
- 데이터를 만들 때 최상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구조
- 통신이 일어나는 절차를 각 기능별로 모듈화시켜 만들어놓은 계층적인 구조
- 계층은 항상 순서대로 동작됨
[ 종류 ]
> OSI 7Layer 참조 모델
- 국제표준화기구(ISO)에서 표준화를 위해 개발된 모델
- 현재 참조용으로 사용 (학습 목적)
> TCP/IP 모델
-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모델
* 상위계층
- 데이터 생성 계층
-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참조
* 하위계층
- 데이터 전달 계층
- 네트워크 분야에서 참조
[ 통신에 사용되는 주소 ]
- 2, 3, 4 계층에서 데이터 전달에 필요한 주소를 사용
- 4계층 : 서비스 주소 (Port넘버)
- 3계층 : 논리적 주소 (IP주소)
- 2계층 : 물리적 주소 (MAC주소)
< MAC 주소 >
- NIC(Network Interface Card) 장치에 부여된 고유 식별값
- Network 통신에서 인접 장비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의 고유 이름
- 실체가 있는 물리적 주소로 임의변경이 불가능
< IP 주소 >
- 전체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
- 국제 인터넷주소관리기구(ICANN)에서 관리하며, 고유한 값으로 사용함
- IPv4와 IPv6가 있음
- 논리적 주소로 변경이 가능함
< Port 넘버 >
- 시스템 내부의 프로세스 또는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별값
- 프로그램 설계 시 사용할 port 주소가 지정됨
'개발 > N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W] 네트워크 이론 - 네트워크 / 인터넷(Internet) / 프로토콜(Protocol) (0) | 2022.09.25 |
---|